Life InStyle/Health

잠든 당신의 뇌를 깨워라: 치매와 뇌 건강을 위한 케톤식의 놀라운 효과 (닥터쓰리)

shine's diy 2025. 4. 1. 11:57
반응형

오늘은 뇌신경을 어떻게 하면 활성화할 수 있을지, 그리고 우리가 왜 ‘케톤식’에 주목해야 하는지를 알려드리려 합니다. 저는 신경과 전문의로서 치매, 파킨슨병, 루게릭병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을 오랫동안 진료해왔고, 그 임상 경험을 담은 책 《잠든 당신의 뇌를 깨워라》를 출간했습니다. 오늘 강의는 이 책 내용을 중심으로, 뇌 건강에 가장 중요한 ‘케톤식’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치매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이유는?

20년 전만 해도 시골 진료소에서 100세 어르신을 자주 뵀지만, 치매 환자는 흔치 않았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신규 치매 진단만 해도 하루에 몇 건씩 나올 정도로 치매가 급증했습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가장 큰 변화는 1977년 미국에서 발표된 저지방 식이 지침입니다. 지방이 해롭다는 잘못된 인식이 퍼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저지방, 고탄수화물 식단이 확산되었고, 이로 인해 당뇨 유병률과 치매 위험이 급증하게 된 것이죠.


뇌는 지방으로 구성된 기관입니다

뇌는 수분을 제외하면 60-70%가 지방입니다. 그중 25%는 콜레스테롤, 20-25%는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어요. 그런데 저지방 식단을 지속하면 이처럼 중요한 지방과 인지질, 콜레스테롤이 부족해지고, 이는 곧 신경세포 기능 저하와 시냅스 연결 약화로 이어져 치매를 유발하게 됩니다.


저지방 식단의 대표, 대시(DASH) 다이어트의 한계

DASH 다이어트는 미국 심장학회와 WHO 등 권위 있는 기관들이 권장하지만, 실상은 탄수화물 55% 이상, 포화지방 6% 이하로 제한된 극단적인 채식 식단입니다. 이런 식단은 중성지방을 폭발적으로 증가시키고, 혈당도 불안정하게 만들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케톤식은 어떤 효과를 보여줄까요?

케톤식은 탄수화물 섭취를 최소화하고, 지방을 주 에너지원으로 삼는 식단입니다. 실제 연구에 따르면 케톤식을 실천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 혈당 변동이 현저히 감소
  • 당화혈색소 5.0 이하로 유지 가능
  • 인지 기능, 기억력, 시냅스 가소성 향상
  • 치매와 정신질환 개선 효과
  • 심혈관 기능 개선 및 대사증후군 정상화

스탠퍼드 대학 연구에서는 정신질환자에게 케톤식을 적용했더니 79%가 임상적 호전을 보였고, 대사증후군은 100% 개선되었습니다.


왜 동물성 식품이 중요한가?

뇌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지질과 콜레스테롤, 비타민 B군, 오메가-3, 타우린, 카노신 등이 꼭 필요합니다. 이 영양소들은 대부분 동물성 식품에만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계란, 생선, 고기, 버터, 치즈, 해산물 등이 대표적인 예죠.

특히 뇌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플라스마로겐(Plasmalogen)**은 조개류, 연어, 소·양고기, 계란 노른자 등에 풍부하며, 뇌와 심장 건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결론: 뇌 건강을 위한 진짜 식단은?

결국, 뇌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1. 탄수화물 섭취를 최대한 줄이고
  2. 건강한 지방과 동물성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며
  3. 인지질과 플라스마로겐이 풍부한 식단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뇌리셋 케톤식’의 핵심입니다. 건강한 식단은 약보다 더 강력한 치유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치매는 유전적인 요소도 있지만, 후천적인 식습관이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뇌를 깨우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잘 먹는 것, 그중에서도 올바르게 먹는 것입니다. 케톤식은 단순한 유행이 아닌, 과학과 임상으로 입증된 뇌 건강 전략입니다.

앞으로도 여러분의 건강을 응원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