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e Study

지속적인 변화의 열쇠: 자기대면 상담 강의 정리 (8주차)

shine's diy 2025. 4. 15. 12:39
반응형

지속적인 변화를 위한 성경적 실천: 히브리서 5장을 중심으로

우리의 삶에서 지속적인 변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단순한 감정이나 일시적인 결단이 아니라, 성경적 기초 위에 훈련과 실천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히브리서 5장 12-14절은 이 부분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때가 오래 되었으므로 너희가 마땅히 가르치는 자가 되었어야 할 터인데, 다시 하나님의 말씀의 초보에 대하여 누구에게서 가르침을 받아야 할 처지이니, 단단한 음식은 못 먹고 젖이나 먹어야 할 자가 되었도다. 이는 젖을 먹는 자마다 의의 말씀을 경험하지 못한 자요 어린 아이니라. 단단한 음식은 장성한 자의 것이니 그들은 지각을 사용함으로 연단을 받아 선악을 분별하는 자들이니라.” (히브리서 5:12–14)

성경적 실천은 교리적 기초 위에 세워진다

지속적인 성경적 변화는 교리적 토대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히브리서 기자는 성숙한 신앙인은 단단한 음식(깊은 진리)을 소화할 수 있는 사람이며, 그것은 단순한 정보의 습득이 아닌 실천을 통한 훈련의 결과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상담하거나 제자훈련을 할 때, 상대방이 단지 문제 해결을 넘어서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살아가는 삶을 배워가도록 도와야 합니다.

기독교 세계관: 변화의 시작점

우리가 무엇을 믿고 있는지가 변화의 방향과 내용을 결정합니다. 기독교 세계관의 핵심은 다음 네 가지입니다.

  1. 창조 – 하나님이 모든 것을 창조하셨고 인간도 그분의 형상대로 지음 받았다.
  2. 타락 – 죄로 인해 인간은 하나님과의 관계가 끊어지고 세상은 고통과 혼란 속에 있다.
  3. 구속 –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죄와 죽음에서 구속을 받았다.
  4. 완성 – 예수님의 재림과 함께 하나님의 나라가 완성될 것이다.

이 메타 내러티브(큰 이야기)는 우리가 삶을 어떻게 해석하고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합니다.

진정한 변화는 구원의 순서를 이해하는 데서 시작된다

신학자들이 말하는 **Ordo Salutis (구원의 서정)**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죄의 자각과 성령의 깨우침 – 죄에 대한 민감한 양심과 찔림
  2. 중생 (거듭남) – 성령의 역사로 영적인 생명이 시작됨 (요 3:3)
  3. 회심 (회개와 믿음) – 자신의 죄를 돌아서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행위 (행 2:38)
  4. 칭의 (의롭다 하심) – 그리스도의 의가 내게 전가되어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됨 (롬 5:1)
  5. 성화 (거룩해짐) – 점점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삶 (요 17:17)
  6. 영화 (glorification) – 최종적으로 하늘의 영광에 이르게 됨

우리는 회개와 믿음을 “결단”이라고 말하지만, 성경은 그마저도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의 선물이라고 말합니다 (엡 2:8–9).

왜 기초 교리가 중요한가?

단순히 기독교적인 감정이나 분위기만으로는 지속적인 삶의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하나님은 우리로 하여금 그분이 누구신지, 인간이 누구인지, 죄가 무엇이며 구원이 어떤 것인지 분명히 이해하고 반응하길 원하십니다.

결론

변화는 단순한 감정이나 습관의 조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마음이 새로워지는 일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 있고 활력이 있어 좌우에 날선 어떤 검보다도 예리하여 혼과 영과 및 관절과 골수를 찔러 쪼개기까지 하며 또 마음의 생각과 뜻을 감찰하나니.” (히브리서 4:12)

 

말씀은 우리를 변화시키는 하나님의 능력입니다. 지금 내가 어디에 있든지 간에, 하나님의 말씀에 뿌리 내리고, 바른 교리 위에 서서 훈련된 지각으로 선악을 분별하며 자라가는 삶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