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변기 청소, 락스 대신 구연산과 과탄산소다로
양변기 안의 세균을 없애는 가장 좋은 방법은, 세균이 아예 생기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입니다.
먼저 구연산(산성 세제)으로 한 번 씻은 후 물을 내리고, 이어서 과탄산소다(염기성+표백작용)를 사용해 다시 닦아주세요.
급한 방문 손님이 생겼을 때는 두 물질을 함께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구연산 + 워싱소다를 반응시키면 이산화탄소 기포가 빠르게 발생하면서 변기 속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분해합니다.
- 과산화수소도 함께 발생되어 세균 제거 및 표백 효과까지 있습니다.
이후 물을 내리고 과탄산소다를 변기에 소량 뿌려 놓으면 깨끗한 상태가 유지됩니다. 냄새가 심한 락스를 쓰지 않아도 충분히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2. 수조 안 청소: 구연산 1kg이면 해결
물때, 석회질, 세균이 문제되는 수조 안은 구연산 1kg을 통째로 부어 하루 정도 두면 말끔히 정리됩니다.
구연산은 탄산칼슘을 녹이는 데 탁월하며, 세균이 붙기 쉬운 침전물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3. 곰팡이 걱정 없는 화장실 환경 만들기
화장실이 지저분하면 문을 닫게 되고, 이는 습기와 곰팡이, 세균의 번식으로 이어집니다.
반대로 깨끗하게 관리하면 문을 열어두고 환기가 되어 악순환을 끊을 수 있습니다.
깔끔한 화장실은 건강한 생활 습관의 출발점입니다.
4. 샤워실 유리 청소: 구연산 + 워싱소다 + 샴푸 조합
샤워 중 몸에서 떨어지는 기름, 각질, 칼슘 성분 등이 샤워실 유리를 오염시킵니다.
- 1단계: 구연산을 소량의 물에 녹여 유리를 닦아줍니다.
- 2단계: 워싱소다를 물에 녹여 스펀지로 닦고 헹굽니다.
- 3단계: 샴푸를 유리에 발라 헹구면 물방울이 또르르 굴러가는 유리 완성!
5. 욕조도 5성급 호텔처럼 관리하기
샤워실 청소와 마찬가지로, 욕조도
구연산으로 1차 청소 → 워싱소다로 2차 청소
이 과정을 반복하거나 한 번만 해도 큰 효과가 있습니다.
6. 매일 10초면 욕실 유지 끝
샤워 후 떨어진 각질, 기름이 세균의 먹잇감이 되기 전!
소금통이나 깨통에 과탄산소다를 담아 욕조 바닥에 톡톡 뿌려주세요.
수분과 만나 과산화수소가 발생해 세균을 사전에 제거합니다.
일주일에 한 번만 청소해도 깨끗함이 유지됩니다.
7. 배달 용기 설거지: 워싱소다 하나면 OK
기름기 많은 배달 용기엔 워싱소다를 사용하세요.
기름과 만나 비누로 변해 쉽게 헹궈집니다.
- 고춧기름 용기엔 과탄산소다를 추가하면 색소도 분해되어 말끔하게!
냄비, 팬 등 탄 음식에도
- 워싱소다 + 과탄산소다 + 물 → 수세미로 문질러 주세요.
산소 원자가 탄 부위를 깨뜨려 빠르게 청소됩니다.
8. 수건과 옷에서 나는 쉰내 제거
쉰내의 원인은 우리 몸의 기름, 각질, 유기산입니다.
- 워싱소다 세제를 쓰면 냄새가 사라집니다.
- 여기에 과탄산소다를 조금 섞으면 표백과 살균 효과까지!
※ 따뜻한 물(40~50도)에 녹이면 과탄산소다가 더 빨리 작용합니다.
9. 얼룩별 세탁 방법
- 와인: 알코올로 닦은 후, 과탄산소다로 세탁
- 피, 풀물: 식초나 구연산 같은 산을 사용해 철이온, 마그네슘 이온을 제거 → 색소도 사라짐
- 일반 색 있는 옷: 과탄산소다
- 손상돼도 괜찮은 옷: 락스도 가능
10. 절대로 혼합 금지! 위험한 조합들
- 락스 + 식초/구연산: 염소기체 발생 → 흡입 시 치명적
- 락스 + 과산화수소: 산소 기체 격렬하게 발생 → 압력↑ 폭발 위험
- 과탄산소다를 물에 녹인 뒤 밀폐 스프레이 보관: 시간이 지나면 산소 발생 → 용기 폭발 가능성 있음
ARM & HAMMER Super Washing Soda

Citric Acid 5 LB Bag (구연산)

Sodium Percarbonate (4 lbs total, 2 pack of 2 lbs) 과탄산소다

This page contains affiliate links, and I may earn a small commission if you make a purchase through these links.
'Life InStyle >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름때 걱정 끝! 워싱소다로 집안 청소 혁명하는 방법 총정리 (0) | 2025.04.10 |
---|---|
한국인의 자존감과 부의 욕망: ‘한’으로 읽는 문화심리학의 진단 (한민 교수) (1) | 2025.04.02 |
좋은 사람을 만나려면, 내가 먼저 옥이 되어야 한다: 공자 철학과 인간관계의 본질 (아는변호사) (1) | 2025.04.02 |
창조는 편집이다: 김정운 박사가 말하는 생각의 힘과 재미의 본질 (0) | 2025.04.01 |
부모 소득이 많아도 받을 수 있는 Merit-based 장학금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