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InStyle/IT

전자책 제작 및 유통 완벽 가이드 (한국 vs 미국 비교)

shine's diy 2025. 3. 27. 07:09
반응형

전자책은 더 이상 출판사의 문턱을 넘지 않아도 누구나 콘텐츠를 유통할 수 있는 시대에 들어섰습니다. 자기계발서, 신앙도서, 에세이, 건강 정보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자책은 저자에게 새로운 수익 모델이자 영향력을 넓히는 수단이 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전자책을 직접 제작하고 유통하는 전 과정을 설명하고, 한국과 미국의 유통 구조를 비교해드립니다.


1. 전자책 제작 과정

✅ 1-1. 콘텐츠 기획 및 원고 작성

  • 대상 독자 정의: 나이, 성별, 관심사에 따라 독자층을 명확히 설정
  • 주제 선정과 목차 구성: 정보성, 감성적 이야기, 문제 해결 중심 등
  • 글쓰기와 교정/교열: 한 번에 완성하기보다 여러 번 다듬는 것이 핵심

✅ 1-2. 전자책 포맷 변환

  • EPUB: 유통 플랫폼 대부분에서 사용하는 표준 형식
  • PDF: 디자인 제약이 적고 뷰어가 많지만 유통 플랫폼 호환성은 다소 떨어짐

제작 도구 추천:

  • 초보자: Canva, Google Docs, MS Word + Calibre 변환기
  • 전문가: Adobe InDesign, Scrivener, Sigil

✅ 1-3. 표지 디자인

  • 전자책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요소
  • 권장 사이즈: 1600px × 2560px 이상
  • 툴: Canva, Photoshop, BookBrush

✅ 1-4. ISBN 발급

  • 한국: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무료 발급
    ISBN 발급 바로가기
  • 미국: ISBN 없이도 아마존 KDP 등록 가능 (자동 할당 가능)

2. 유통 플랫폼 및 등록 방법

🇰🇷 한국 전자책 유통

주요 플랫폼

플랫폼특징
리디북스 (RIDIBOOKS) 셀프 출판 시스템(RIDI셀프) 운영, 저자 수익률 70%
예스24/교보문고/알라딘 서점 연동 유통망, 노출도 우수
퍼플 (PubPle) 초보자를 위한 통합 유통 대행 플랫폼
북큐브, 밀리의서재 구독 기반 수익 시스템 보유

유통 방식

  • 직접 등록: 플랫폼마다 저자 등록 후 원고 업로드
  • 유통 대행사 이용: PubPle, 북이오, 부크크 등에서 대행 가능

정산

  • 일반적으로 60~70% 수익 배분
  • 월/분기별 정산, 원화 계좌로 입금

🇺🇸 미국 전자책 유통

주요 플랫폼

플랫폼특징
Amazon KDP 세계 최대 전자책 마켓, 셀프 퍼블리싱 가능
Apple Books iPhone, iPad 사용자 대상 유통 채널
Google Play Books Android 사용자 대상 판매 채널
Barnes & Noble Press 미국 전통 서점 연동 플랫폼
Kobo Writing Life 유럽, 캐나다 시장에 강세, 구독형 수익도 가능

유통 방식

  • KDP 등록 과정: kdp.amazon.com에서 계정 생성 → 원고 & 표지 업로드 → 가격 책정 및 국가별 유통 설정
  • ISBN: Amazon에서 무료 제공 가능

정산

  • 수익률: 가격대에 따라 35% 또는 70%
  • 정산 방식: 해외 계좌 또는 Payoneer, Wise 등의 글로벌 결제 시스템을 통한 송금

3. 전자책 마케팅 및 홍보 전략

  • 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활용: 키워드 기반 콘텐츠로 검색 유입 유도
  • 무료 배포 이벤트 → 유료 전환: 구독자 확보 후 본격 판매
  • 전자책 내 링크 삽입: 다른 책/홈페이지/메일 구독 폼 연결

4. 한국 vs 미국 전자책 유통 비교

항목한국미국
대표 플랫폼 리디북스, 예스24, 교보문고 Amazon KDP, Apple Books
ISBN 필요 여부 필요 (무료 발급 가능) 선택사항 (무료 제공 가능)
유통 구조 개별 또는 대행사 이용 1인 셀프 퍼블리싱 중심
정산 방식 원화, 국내 계좌 입금 달러, Payoneer/Wise 등 해외 수령
유통 대상 한국 독자 중심 전 세계 독자 대상
언어 환경 한국어 중심 영어 중심 (다국어 가능)

✅ 실전 팁 요약

  • 전자책은 단순한 책이 아니라 콘텐츠 비즈니스의 시작점
  • 한국은 전문 플랫폼 활용 + 구독형 모델, 미국은 셀프 퍼블리싱 + 글로벌 노출
  • 글쓰기 실력보다 더 중요한 건 기획력과 꾸준한 마케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