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자기 조절력이 중요한 이유
- 아이들은 감정, 행동, 사고를 조절하는 능력을 키워야 함
- 부모의 태도와 양육 방식이 아이의 자기 조절력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
- 자기 조절이 잘되는 아이는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학습력과 사회성이 뛰어남
2. 자기 조절을 저해하는 부모의 행동 TOP 4
- 훈육 부족
- 아이가 원하는 것을 다 해주면 자제력 부족, 사회 규칙 미습득
- 실패와 좌절을 경험하며 성장할 기회를 제공해야 함
- 과도한 훈육
- 부모가 완벽주의적 태도로 작은 실수까지 지적하면 아이는 불안해하고 자신감을 잃음
- 너무 엄격한 훈육은 오히려 아이를 위축시키고 강박적 성향을 키울 수 있음
- 비일관적 훈육
- 부모의 기분에 따라 규칙이 달라지면 아이는 기준을 잡지 못함
- 마트에서 떼쓰는 아이에게 한 번은 안 사주고, 한 번은 사주면 더 강하게 떼를 쓰게 됨
- 아이의 감정 무시
- "울지 마" "그만해" 같은 말보다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표현하도록 도와줘야 함
-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어야 자기 조절력이 향상됨
3. 부모의 권위와 아이의 감정을 지키는 대화법
- 눈을 맞추고 명확하게 지시하기: "장난감 정리해" 대신 "놀았으니 장난감 정리하자"
- 모호한 표현 피하기: "친구 불편하게 하지 마" 대신 "친구가 말할 때 끝나고 이야기해"
- 긍정적인 지시 사용: "뛰지 마" → "사뿐사뿐 걸어보자"
- 한 번에 한두 개의 지시만 전달: 여러 개를 한꺼번에 말하면 아이가 기억하기 어려움
4. 자기 조절력을 높이는 부모의 실천법
- 부모가 자기 조절을 잘하는 모습 보여주기
- 아이는 부모의 행동을 보고 배움
- 부모가 감정을 조절하고 차분하게 대처하면 아이도 따라 함
- 아이가 스스로 조절할 기회 제공
- 실패와 성공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켜봐 줘야 함
- "스스로 계획 세우기 → 실천 → 피드백 받기" 과정을 반복하도록 유도
- 신체 활동을 통한 자기 조절력 향상
- 바깥 활동이 뇌 발달을 촉진하며 감정 조절을 돕는 역할
- 특히 아빠와의 신체 놀이(자전거, 캐치볼, 등산 등)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 아이의 감정을 읽고 말로 표현하도록 유도
- "속상했구나" "억울했겠구나"라고 공감해 주는 것만으로도 감정 조절에 도움 됨
- 조절력을 키우는 다양한 전환 전략 제공
- 스트레스볼 사용, 산책, 보드게임 등으로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익히기
5. 자기 조절력을 갖춘 아이로 성장하는 핵심 요소
- 정서적 안정감이 자기 조절력과 학습력 향상의 기초
- 아이가 실패를 경험하며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
- 부모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자기 조절력이 높아지고 학습 성과도 향상됨
- "넌 할 수 있어", "잘하고 있어" 같은 긍정적인 피드백이 자기 조절력 형성에 핵심
반응형
'Life InStyle > Edu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의 말이 아이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0) | 2025.03.15 |
---|---|
부모의 양육 방식과 아이의 성장 (조선미) (0) | 2025.03.15 |
11살 이후 아들 훈육 및 사춘기 코칭 방법 (최민준) (0) | 2025.03.15 |
남자아이의 사회성 코칭 방법 (최민준) (1) | 2025.03.15 |
남자 아이의 짜증과 승부욕 조절하는 방법 (최민준)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