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InStyle/Education

공부머리를 키우는 진짜 공부법 - 김성태 박사 인터뷰 요약

shine's diy 2025. 3. 28. 04:02
반응형

공부가 잘 안 되는 이유

쉽고 재밌는 수업을 듣는다고 공부가 되는 것은 아니다.
수업을 볼 때 "다 이해돼!"라는 착각에 빠지기 쉽지만, 뇌를 거의 쓰지 않기 때문에 **엔그램(기억의 흔적)**이 형성되지 않는다.
뇌가 적당한 자극을 받아야 학습이 이뤄진다.

공부가 잘 되는 환경이란?

  • 인출 연습을 해야 엔그램이 형성된다.
    → 배운 것을 끄집어내어 말하거나, 쓰거나, 생각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 수업 직후나 쉬는 시간, 수업 시작 전 등 짧은 순간의 복습이 효과적이다.
    → 단 1분이라도 복습하면 기억에 오래 남는다.

자기주도학습이 잘 되는 아이의 특징

  • 미국 하버드 로스쿨에 간 학생의 예:
    부모가 아이의 학습에 직접 관여하지 않음.
    “네 인생은 네 인생, 공부는 너를 위한 것”이라는 태도로 자율성을 존중함.
    셔틀버스와 엄마차 중 스스로 선택하게 하며, 엄마는 선을 그음.
  • 아이는 스스로 개념을 이해하고 질문은 꼭 필요한 부분만 준비해옴.
    문제집을 풀고 해설을 보며, 안 되는 문제만 질문함.

아이 머리를 좋게 만드는 부모의 말투

  • “그게 왜 그럴까?” “같이 찾아볼까?”
  • 아이가 선생님, 부모는 학생이 되는 자세로 호기심과 대화를 유도함.
  • 아이가 뭔가 설명할 때 평가하지 않고 끝까지 들어줌.
    → 설명하는 과정에서 기억이 강화됨(인출 연습).

복습을 생활화하는 전략

  • 짧고 자주 하는 복습이 효과적이다.
  • 복습 체크리스트, 스티커판 등을 활용해 성취감을 느끼게 함.
  • 복습은 길게 하지 않아도 된다.
    → 10초, 30초, 1분이라도 좋다. 핵심은 주기적인 반복이다.

플래너 활용과 공부 습관 형성

  • 복습 주기를 과학적으로 설계한 전용 플래너 제공.
  • 1일차 공부 내용을 1일, 2일, 4일, 8일 후에 복습하게 설계함.
  • 함께 공부하는 챌린지를 통해 자기 의지력 + 집단 동기로 지속하게 함.

공부기적 챌린지 후기

  • 아이들은 유튜브나 게임이 아니라 성취와 변화의 뿌듯함을 원함.
  • 스스로를 자책하던 아이가 “잡아주는 사람”을 통해 변화함.
  • 아이의 진짜 공부력은 외우는 능력이 아닌, 이해하고 응용하는 힘이다.

부모에게 전하는 메시지

  • 인공지능과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과거 방식의 학습은 한계가 있다.
  • 아이의 눈빛이 반짝이는 순간을 포착하라.
  • 강제보다 중요한 건, 아이의 공부력 그 자체를 키우는 일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