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view/가정 & 관계

부모 양육 태도 자가진단 테스트

shine's diy 2025. 3. 1. 17:02
반응형

아래 문항을 읽고, 자신의 양육 방식과 가장 가까운 답변을 선택하세요.


점수 계산 방법:

  • 항상 그렇다 (4점)
  • 대체로 그렇다 (3점)
  • 가끔 그렇다 (2점)
  • 거의 그렇지 않다 (1점)
  • 전혀 그렇지 않다 (0점)

모든 문항에 응답한 후, 각 양육 태도별 점수를 합산하여 자신의 경향을 파악하세요.


📌 1. 독재형(권위주의적) 부모 테스트

부모가 강한 통제력을 행사하고, 아이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1. 내 아이는 부모의 말을 반드시 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
  2. 아이가 부모의 말을 거역하면 강한 훈육(체벌, 벌금, 외출 금지 등)을 가한다.
  3. 아이가 불만을 말할 때 “부모가 하는 말이 맞으니 따라야 해.”라고 말한다.
  4. 아이의 실수를 용납하지 않으며, 완벽한 행동을 기대한다.
  5. 아이가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 부모가 먼저 나서서 해결해준다.
  6. 아이의 행동을 세세하게 관리해야 안심이 된다.
  7. 아이의 의견보다는 부모의 결정이 더 중요하다.
  8. 아이가 친구를 사귈 때 부모가 친구를 골라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9. 아이의 감정보다는 행동의 결과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10. 아이의 목표(진로, 학업 등)는 부모가 정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

➡ 점수 합산: 0~40점

  • 30~40점: 독재형 부모의 성향이 매우 강합니다.
  • 20~29점: 독재형 부모의 경향이 다소 있습니다.
  • 10~19점: 가끔 독재형 태도를 보이지만, 균형 잡힌 양육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 0~9점: 독재형 부모의 성향이 거의 없습니다.

📌 2. 허용형(과잉보호, 친구형) 부모 테스트

부모가 아이에게 과도한 자유를 주거나 규칙을 잘 세우지 않는 경향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1. 아이가 원하는 것은 웬만하면 다 들어주는 편이다.
  2. 아이가 실수를 하면 그냥 넘어가고, 크게 혼내지 않는다.
  3. 아이가 규칙을 어겨도 일관된 처벌을 하지 않고, 그때그때 다르게 대응한다.
  4. 아이가 부모에게 부탁하면, 거절하기 어려워 대부분 들어준다.
  5. 아이가 힘들어하면 바로 도와주며, 스스로 해결하도록 기다리기 어렵다.
  6. 아이가 원하는 것은 부모가 대신 해결해주는 경우가 많다.
  7. 아이가 늦게 자거나, 숙제를 안 해도 크게 문제 삼지 않는다.
  8. 부모와 아이 사이에 명확한 규칙을 정하는 것이 어렵다고 느낀다.
  9. 아이가 하고 싶은 대로 하게 두는 것이 아이에게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
  10. 친구처럼 아이와 지내는 것이 가장 좋은 양육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 점수 합산: 0~40점

  • 30~40점: 허용형 부모의 성향이 매우 강합니다.
  • 20~29점: 허용형 부모의 경향이 다소 있습니다.
  • 10~19점: 가끔 허용형 태도를 보이지만, 균형 잡힌 양육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 0~9점: 허용형 부모의 성향이 거의 없습니다.

📌 3. 방임형(무관심형) 부모 테스트

부모가 아이에게 무관심하거나, 감정적으로 거리를 두는 경향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1. 아이가 부모에게 고민을 이야기해도 바쁘거나 피곤해서 잘 듣지 못한다.
  2. 아이가 학교나 친구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어도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는다.
  3. 아이의 생활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4. 아이가 하는 일(공부, 취미 등)에 크게 관심이 없다.
  5. 아이가 혼자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해, 도움을 요청해도 개입하지 않는 편이다.
  6. 아이가 하루 종일 무엇을 했는지 대화를 많이 하지 않는다.
  7. 부모와 아이가 함께 시간을 보내는 일이 거의 없다.
  8. 아이에게 사랑한다고 말하거나, 스킨십(포옹, 손잡기 등)을 자주 하지 않는다.
  9. 아이가 부모에게 의지하는 것보다 스스로 알아서 하기를 기대한다.
  10. 아이와의 관계가 중요하지만, 우선순위는 아니다.

➡ 점수 합산: 0~40점

  • 30~40점: 방임형 부모의 성향이 매우 강합니다.
  • 20~29점: 방임형 부모의 경향이 다소 있습니다.
  • 10~19점: 가끔 방임형 태도를 보이지만, 균형 잡힌 양육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 0~9점: 방임형 부모의 성향이 거의 없습니다.

📌 4. 민주형(균형 잡힌 권위형) 부모 테스트

부모가 아이에게 적절한 규칙을 설정하면서도, 아이의 의견과 감정을 존중하는 균형 잡힌 태도를 유지하는지 확인합니다.

  1.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며, 의견을 경청하려고 노력한다.
  2. 아이가 실수했을 때, 원인을 함께 분석하고 해결 방법을 찾도록 돕는다.
  3. 아이에게 일정한 규칙을 가르치되, 이유를 설명해 준다.
  4. 아이의 행동을 통제하기보다는 가이드하는 방식으로 지도한다.
  5. 아이가 자율적으로 결정할 기회를 준다.
  6. 아이와의 관계에서 신뢰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7. 아이의 고민을 진지하게 들어주고, 공감하려고 노력한다.
  8. 아이에게 규칙을 어겼을 때 합리적인 결과를 경험하도록 한다.
  9. 아이가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기다려준다.
  10. 부모와 아이가 서로 존중하며, 함께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점수 합산: 0~40점

  • 30~40점: 민주형 부모의 성향이 매우 강합니다.
  • 20~29점: 민주형 부모의 경향이 다소 있습니다.
  • 10~19점: 민주형 태도를 보이지만, 개선할 부분이 있습니다.
  • 0~9점: 민주형 부모의 성향이 거의 없습니다.

📌 나의 양육 태도 결과 해석하기

각 유형별 점수를 비교해 보세요.

  •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유형이 현재 나의 주된 양육 태도입니다.
  • 만약 민주형 점수가 높다면, 아이와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 독재형, 허용형, 방임형 점수가 높다면, 부모-자녀 관계에서 개선할 부분이 있는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테스트를 통해 자신의 양육 태도를 점검하고, 더 건강한 부모-자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 보세요. 😊

반응형